4대 금융지주(KB·신한·하나·우리)의 1분기 실적 발표가 마무리된 가운데 '감액 배당'이 화두에 올랐습니다. 메리츠금융이 감액 배당을 진행하고 우리금융도 올해 준비를 마치면서, 타 금융지주들에 감액 배당 도입 여부를 묻는 질문이 이어졌습니다. 다만 은행권에서는 감액 배당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
◆ 배당소득세 없는 '감액 배당', 금융권 화두
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24~25일 간 4대 금융지주의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이 진행됐습니다. 컨퍼런스콜 Q&A 세션에서 KB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는 감액 배당 도입 여부에 대한 질문을 받았는데요. 두 곳 모두 "검토는 하고 있으나 추이를 지켜 보고 도입 여부를 결정할 것"이라고 답변했습니다.
감액 배당이란 정확히는 '자본준비금 감액 배당'을 말합니다. 자본준비금은 회사가 주식발행이나 합병, 감자 등 자본거래를 할때 발생하는 잉여금을 적립해 둔 법정준비금입니다.
회사가 유상증자 진헹 과정에서 주식을 발행할 경우, 발행가는 보통 액면가보다 높습니다. 이때 발생하는 주식발행초과금은 자본준비금에 포함됩니다. 이 외에도 자본감소 과정에서 반환액보다 감소액이 더 클 경우, 합병 과정에서 소멸 회사의 순자산액이 발생할 경우 자본준비금에 적립됩니다.